제주고려시대역사

제주고려시대역사 소개

안녕하세요.
제주도호빠입니다.

오늘은 제주도의 고려시대역사와 삼별초에 대해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주고려시대역사

” 삼별초가 제주도에 처음 들어온 것은 원종 11년(1270) 10월말경이었다.
이문경이 거느린 삼별초의 선발대가 명월포에 상륙한 것이다.

삼별초군을 그린 그림 1

고려시대의 제주도는 당초에 군으로 편제되었으나 의종 때에 현으로 강등되었고, 고종 때에 다시 군으로 환원되었다가
충렬왕 21년에 가서는 제주목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제주라는 명칭은 이미 고려 고종 때(13세기)부터 사용되었다.
다만 몽골의 지배 때는 제주도가 그들의 직할지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항상 탐라ㆍ혹은 탐라국으로 호칭하였었다.
그러나 충렬왕 20년에 고려에 반환된 뒤에는 다시 제주로 고쳤다. 한편, 고려조정에서 관리가 파견되면서부터
수탈이 자행되어 민란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선정을 남긴 관리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민란의 주된 요인은 관리의
가렴주구와 토호 권세가의 토지침탈, 조세ㆍ부역의 가중 등을 들 수 있다.

삼별초가 제주도에 처음 들어온 것은 원종 11년(1270) 10월 말경이었다. 이문경이 거느린 삼별초의 선발대가
명월포에 상륙한 것이다. 그러나 고려 조정에서도 삼별초의 세력이 제주도에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영암부사 김수를
보내어 군사 200명으로 제주도를 지키게 하였고, 뒤이어 고여림 장군에게도 군사 70명을 거느리고 들어가 김수와
합세하게 하였다. 이들 고려 관군이 제주도에 들어온 시기는 삼별초보다 약 한 달 앞선 9월 중순경이었다.
그리고 이 때 삼별초의 입도에 대비하여 보루를 쌓다가 삼별초가 상륙하자, 결국 이들 고려 관군과 삼별초간에
공방전이 전개된 것이다. 그 격전지는 송담천 일대였다. 명월포로 상륙한 이문경이 제주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제원에 진을 치고 송담천에서 관군을 맞아 싸웠던 것이다.

그 결과 관군이 패했는데, 그 이유를 《졸고천백》에는 현지 방어군이 적극 협력하지 않았고 현지 주민들 또한
삼별초를 도왔기 때문에 패배할 수밖에 없었다고 하였다. 승리한 이문경은 수륙 교통의 요지인 조천포에 거점을
마련하여 비상시에 대비했다. 그런데 당시 제주도 주민들이 삼별초를 도왔다는 것은 단순히 대몽 항쟁을 전개하고
있는 삼별초를 위해서라기보다는 지금까지 겪어온 관리의 수탈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삼별초를 도왔던 것이다.

중량…

출처 제주도도청

제주고려시대역사 소개 끝

제주도호빠 제주고려시대역사
홈으로
제주도호빠 제주고려시대역사
구인구직은 호빠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